마케팅/필수 마케팅 용어

필수 마케팅 용어 정리 4 : CPS, CPI, CPE

빵감자 2023. 9. 15. 00:3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

오늘은 필수 마케팅 용어 4번째 포스팅입니다.

오늘은 디지털 마케팅 시장을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는

CPS, CPI, CPE 용어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CPS

CPS(Cost per Sale)는  매출당 비용을 뜻합니다.

광고를 클릭하고, 상품이나 서비스가 판매되어 매출이 발생했을 경우

게시자는 일정 금액의 수당을 지급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1개월 간 1,000원의 마케팅 비용을 들여

이 기간 동안 100개의 상품을 판매한다면

 

CPS = 100,000 / 10,000 = 10원이 되는 겁니다.

 

그러므로 CPS는 낮을수록 좋습니다.

 

2️⃣ CPI

CPI(Cost per Install)는 앱 설치당 비용을 뜻합니다.

 

소비자가 광고를 보고 앱을 설치하게 되었을 경우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CPI는 주로 앱 마케팅에 많이 사용되고,

게임 회사에서 많이 진행하는 형태의 광고입니다.

 

3️⃣ CPE

CPE(Cost per Engagement)는 상호작용당 비용을 뜻합니다.

CPE는 설치 + 실행 방식으로 CPI와 호환됩니다.

 

앱을 설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앱에서 특정 행동을 했을 경우 광고비가 발생하는 구조입니다.

 

유저들의 이벤트 참여나 좋아요와 같은 상호작용 등을 관리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여기서 마치고,

더 좋은 정보와 함께 다음 포스팅에서 뵙겠습니다.

 

제 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반응형